본문 바로가기
이슈(Issue)

로컬라이저란? 무안공항 사고로 본 항공 안전의 중요성

by Yoonsoori 2025. 1. 1.

 

안녕하세요. '윤수리'입니다.

 

오늘은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하여, 사고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로컬라이저(Localize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로컬라이저(Localizer)란 무엇인가?

 

로컬라이저는 항공기의 착륙을 돕는 계기착륙시스템(ILS)의 핵심 장비 중 하나로, 활주로 중심선의 연장선을 따라 항공기가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방향 정보를 제공합니다.

 

- 구성 요소: 지상에 설치된 송신기와 항공기에 장착된 수신기로 구성됩니다.

 

- 작동 원리: 지상 송신기는 활주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송출하며, 항공기 수신기는 이 신호를 받아 좌우 편향 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조종사는 활주로에 정확히 정렬하여 착륙할 수 있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의 개요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경, 전남 무안국제공항에 착륙 중이던 제주항공 여객기가 활주로를 이탈하여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한 후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사고 발생일: 2024년 12월 29일

 

-사망자 및 부상자 수: 사망자 179명, 부상자 2명

 

-사고 원인(추정): 조류 충돌로 인한 엔진 고장, 랜딩기어 작동 불능으로 인한 동체 착륙시도, 활주로 이탈 후 로컬라이저 구조물과의 충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로컬라이저 구조물의 설치와 사고의 연관성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는 활주로 끝에서 약 250m 떨어진 지점에 2m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국내외 규정을 충족하는 위치로 알려져 있으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할 경우 충돌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쉽게 부서지는 재질로 설치해야 한다는 권고와는 상반되는 견고한 구조로 되어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안타까운 사고입니다. 특히 로컬라이저 구조물의 설치방식과 위치가 피해를 키운 요소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항공 안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시설물의 설치 기준을 재 검토하고, 비상상황에 대한 조종사들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